교육부-충청북도-대학-기업 간 네트워크 강화를 통해 충북의 미래를 혁신하는 데 앞장서겠습니다.
국내 최초 산·학·연·병 집중 및 융합 배치를 통한
글로벌 바이오 클러스터 육성으로 바이오 경제 강국 도약 견인!
2조원 규모 KAIST 바이오메디컬 캠퍼스 및 창업타운 조성,
Havard, MIT, 뉴욕대, 모더나 등과 글로벌 공동 임상연구 계획
(6.7일 대통령 K-바이오 스퀘어 추진 비전 선포)
1
충청북도 바이오
산·학·연 역량 결집 및 강화 성과
-
연구성과
-
- 100건
- 학술지논문
-
- 80건
- 특허출원
-
- 368건
- 대학-기업간 매칭
-
- 558명
- 학생참여 연구원
-
-
기술사업화 성과
-
- 13건
- 기술이전 성과
-
- 48건
- 기술자문 상담건수
-
- 271건
- 기업 사업화 지원
-
-
창업지원
-
- 11과제
- BIO-PRIDE 네스팅
-
- 17건
- 학생창업
-
- 300명
- 창업교육
-
-
취업지원
-
- 23건
- 취업프로그램
-
- 437명
- 학생취업
-
- 250명
- 취업교육
-
2025 충북 바이오 지원사업 통합설명회 발표자료
2025년도 충북 바이오 지원사업 통합설명회 발표자료1.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2. 한국생명공학연구원3. 청주오송첨단임상시험센터4. 충북테크노파크5.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6. 충청북도기업진흥원7.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8. 한국세라믹기술원9. 충북창조경제혁신센터10. KOTRA 충북지원본부11.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12.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13. 한국바이오특화센터협의회
충북, 바이오헬스 미래 지역 인재 양성 공동협력 !!
충북, 바이오헬스 미래 지역 인재 양성 공동협력 !! -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충청대학교 RISE 사업 성공추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원장 이장희)과 충청대학교(총장 송승호)는 충북 지역 혁신 중심 대학 지원체계(RISE) 구축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충북 바이오헬스 산업의 발전과 지역 내 인재 양성을 목표로 양 기관이 협력하여 다양한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추진하기 위한 것이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지·산·학·연 공동 프로젝트 기획 및 추진 ▲바이오헬스 전문인력 양성 교육 프로그램 공동 운영 협력 ▲바이오헬스 분야 연구 및 실습 프로그램 공동 운영 협력 등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학생들에게 실무 중심의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 바이오산업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고 전했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충북 바이오헬스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과 전문인력 양성이 더욱 활성화되어, 바이오산업 전문인력의 지역 내 정착을 촉진하고 지역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덕특구X청주 강소특구 초광역 특화분야 바이오 유망기술 설명회
대덕특구X청주 강소특구 초광역 특화분야 바이오 유망기술 설명회(Lab-to-Market) (◀ 링크클릭)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 2024 CBIO ISSUE PAPER Vol.02 유전체
2024 CBIOISSUE PAPER Vol.2 유전체 Contents Ⅰ. 들어가기 1. 유전체란? 2. 한국인 맞춤형 유전체칩 v2.0 Ⅱ. 개인 맞춤형 시대, 유전체를 기반으로 한 웰케어 서비스 1. 유전체 분석의 잠재력, 웰케어 산업이 부흥 2. 디지털헬스케어의 조언, 충북의 역할 Ⅲ. 미래 유전체산업의 활용방안, 전망 및 정부지원의 필요성 1. 유전체산업이란 무엇이며, 왜 중요한가? 2. 주요 국가별 유전체 산업 현황 3. 정부지원의 필요성 Ⅳ. 기업소개 1. 게놈연구재단 2. (주)테라젠바이오 3. (주)클리노믹스
1